Spring

서블릿과 스프링의 개요 및 관계

TedDev 2024. 11. 5. 17:59
728x90

서블릿(Servlet)과 스프링(Spring)은 Java 기반 웹 개발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두 기술은 서로 다른 목적과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서블릿을 기반으로 동작한다.

 

서블릿의 역할과 배경

서블릿은 서버에서 웹 콘텐츠를 동적으로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주로 브라우저)와의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는 Java 기반 기술이다. 서블릿은 클라이언트 요청을 받아 처리하고 응답을 반환하는 역할을 하며 Java Enterprise Edition (Java EE) 환경에서 실행된다.

 

서블릿의 탄생 배경

초기 웹 애플리케이션은 HTML로 작성된 정적인 페이지를 전달하는 방식이었지만 점차 동적 데이터 처리의 필요성이 생기면서 CGI(Common Gateway Interface) 기술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CGI는 클라이언트의 요청마다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비효율적이고 리소스를 많이 소모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Java 기반의 서블릿이 등장하였고 서블릿은 객체 지향 방식과 멀티스레드를 지원하여 효율적인 서버 처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서블릿의 동작 구조

서블릿은 서블릿 컨테이너(Servlet Container) 내에서 실행되며 서블릿 생명주기(lifecycle)를 통해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한다. 주요 생명주기 단계는 다음과 같다.

  • 초기화(init) : 서블릿이 처음 생성될 때 한 번 호출된다
  • 서비스(service) : 각 요청마다 호출되며 doGet, doPost 등 메소드를 통해 요청을 처리한다
  • 종료(destroy) : 서블릿이 메모리에서 해제될 때 호출되어 리소스를 정리한다

서블릿 컨테이너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스레드 단위로 처리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스프링과 서블릿의 관계

스프링은 Java 개발의 편의성을 높이는 프레임워크로 서블릿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스프링에서 웹 요청을 처리하는 주요 컴포넌트인 디스패처 서블릿(DispatcherServlet)은 서블릿의 확장으로 클라이언트 요청을 받아 적절한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MVC (Model-View-Controller) 아키텍처를 구현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디스패처 서블릿의 동작 원리

디스패처 서블릿은 초기화 시점에 여러 핸들러 매핑(Handler Mapping), 뷰 리졸버(View Resolver) 등을 설정하여 클라이언트 요청이 어떤 컨트롤러로 가야 하는지 어떤 뷰(View)를 반환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1. 요청 수신 : 디스패처 서블릿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수신한다
  2. 핸들러 매핑 : 요청에 맞는 컨트롤러를 찾아 요청을 전달한다
  3. 핸들러 실행 : 컨트롤러는 모델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가하고 응답할 뷰의 이름을 반환한다
  4. 뷰 리졸버 : 뷰 리졸버가 뷰의 위치를 찾아 HTML 또는 JSP와 같은 형식으로 렌더링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한다

 

서블릿과 스프링의 차이점

  • 서블릿은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서버 측에서 동작하는 Java 프로그램이며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바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요소이다
  • 스프링은 서블릿을 포함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프레임워크이다. 스프링은 객체 지향 설계와 DI(Dependency Injection),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 등의 기능을 통해 코드 재사용성과 유지 보수성을 높이며 서블릿을 활용하여 웹 요청 처리를 구조적으로 관리한다.

 

결론

서블릿은 동적 웹 페이지 처리를 위해 Java 언어로 개발된 서버 측 프로그램이고 스프링은 서블릿을 기반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프레임워크이다. 스프링의 디스패처 서블릿은 서블릿을 확장하여 MVC 패턴을 구현하며 이를 통해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