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웹 개발에서 "인증"과 "인가"는 보안 시스템의 핵심 요소다. 두 개념은 비슷해 보이지만,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웹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1. 인증 (Authentication)
인증은 사용자가 자신이 주장하는 사람임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즉, 인증은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과정이다. 주로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하려 할 때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가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인증의 방법
- 비밀번호 기반 인증 :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요구한다. 비밀번호가 시스템에 저장된 것과 일치하면 사용자가 인증된다.
- 다중 인증 (MFA, Multi-Factor Authentication) : 비밀번호 외에 추가적인 인증 요소를 요구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OTP(일회용 비밀번호), SMS 코드, 생체 인식(지문, 얼굴 인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 생체 인증 : 지문, 얼굴 인식, 음성 인식 등 생체적 특징을 이용한 인증 방법이다.
- 소셜 로그인 : Facebook, Google, Twitter 등의 소셜 미디어 계정을 이용해 인증하는 방식이다.
- SSO (Single Sign-On) : 한 번의 인증으로 여러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주로 기업 환경에서 사용되며, OAuth, SAML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2. 인가 (Authorization)
인가는 사용자가 인증된 후, 해당 사용자가 특정 리소스나 기능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즉, 인가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과정이다. 인증이 "누구인가?"를 확인하는 것이라면, 인가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인가의 방법
- 역할 기반 접근 제어 (RBAC, Role-Based Access Control) : 사용자에게 특정 역할(예: 관리자, 편집자, 뷰어 등)을 부여하고, 역할에 따라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이는 관리가 용이하고, 조직 내 다양한 직무에 따른 권한 설정이 용이하다.
- 속성 기반 접근 제어 (ABAC, Attribute-Based Access Control) : 사용자의 속성(예: 부서, 직급, 위치 등)과 리소스의 속성을 기반으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보다 정교한 정책을 설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조건에 따른 접근 제어가 가능하다.
- 정책 기반 접근 제어 (PBAC, Policy-Based Access Control) : 정책에 따라 접근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조건에 따라 매우 유연하게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주로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된다.
인증과 인가의 차이점
구분 | 인증 (Authentication) | 인가 (Authorization) |
목적 | 사용자의 신원 확인 |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리소스 및 작업 결정 |
질문 | "누구인가?" | "무엇을 할 수 있는가?" |
예시 |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 확인, OTP 인증 | 관리자만 접근 가능한 페이지 제한 |
순서 | 인가 이전에 수행됨 | 인증 이후에 수행됨 |
관련 기술 | 비밀번호, 생체 인식, SSO, OAuth | RBAC, ABAC, PBAC |
인증과 인가의 결합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증과 인가를 결합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로그인 페이지를 통해 인증을 마친 후, 관리 페이지에 접근하려 할 때 관리자의 권한이 있는지(인가)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 OAuth 2.0 : 소셜 로그인이나 API 접근 시 자주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인증과 인가 모두를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소셜 계정으로 로그인(인증)하면, 해당 사용자의 특정 리소스에 대한 접근 권한(인가)을 제어할 수 있다.
- JWT (JSON Web Token)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인증 및 인가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JSON 기반의 웹 토큰이다. 인증 정보가 토큰에 포함되어 있으며, 인가 정보 또한 담길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을 이해하고 구현하는 것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성을 강화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보호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반응형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요청-응답 흐름의 개요 (1) | 2024.09.12 |
---|---|
API vs Library vs Framework (0) | 2024.09.09 |
TCP와 UDP (0) | 2024.09.06 |
OAuth 2.0의 개념과 동작방식 (0) | 2024.09.04 |
RESTful (0) | 2024.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