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MVC 패턴의 개념
Model (모델)
-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한다.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며 데이터를 가져오고 수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관리한다.
- 스프링에서 @ModelAttribute나 Entity 클래스를 사용해 모델을 정의한다.
View (뷰)
-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화면이다. HTML, JSP, Thymeleaf 같은 템플릿 엔진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 모델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한다.
Controller (컨트롤러)
-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적절한 비즈니스 로직을 호출하고 결과를 모델에 반영하며 그 결과를 뷰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스프링에서는 @Controller나 @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컨트롤러를 정의하고 @RequestMapping이나 @GetMapping, @PostMapping 등을 사용하여 HTTP 요청을 처리한다.
MVC 패턴의 장점
모듈화와 역할 분리
- 모델, 뷰, 컨트롤러가 각자 독립적으로 동작하므로 개발자는 역할에 맞게 각 부분을 별도로 개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협업이 수월해지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유연한 확장성
- 각 부분이 독립적이기 때문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고도 확장할 수 있다.
유지보수성
- 코드가 명확하게 분리되어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쉽고 특정 기능이나 컴포넌트를 수정하더라도 다른 부분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테스트 용이성
- 컨트롤러, 모델, 뷰가 분리되어 있어 단위 테스트가 용이하며 각 요소를 개별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다.
MVC 패턴의 단점
복잡성 증가
- 처음 배우고 적용하기에 다소 복잡할 수 있다. 특히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는 각 컴포넌트 간의 상호작용을 제대로 설계하지 않으면 유지보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추가 학습 필요
- 스프링 MVC 같은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려면 추가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어노테이션 기반의 설정과 컨트롤러에서의 HTTP 요청 처리 등 여러 기술들을 이해해야 한다.
스프링에서 MVC 패턴의 구현
스프링은 MVC 패턴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강력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Controller (컨트롤러)
- 스프링에서는 @Controller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컨트롤러 클래스를 정의하고 @RequestMapping을 통해 HTTP 요청을 처리한다. 각각의 URL 경로는 특정 메소드와 매핑되어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고 해당 요청에 맞는 모델 데이터를 반환한다.
Model (모델)
- 컨트롤러는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뷰에 전달한다. 스프링에서는 Model 객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뷰로 전달한다. 이 모델은 주로 비즈니스 로직이나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한다.
View (뷰)
- 뷰는 컨트롤러에서 전달받은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에서는 JSP, Thymeleaf 같은 템플릿 엔진을 사용하여 뷰를 렌더링한다.
서블릿과 스프링 MVC의 차이점
과거의 서블릿 기반 아키텍처
- 서블릿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초기 단계에서 사용되었으며 하나의 서블릿이 모든 요청을 처리했었다. 이 방식은 애플리케이션이 커지면 코드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었다.
스프링 MVC 아키텍처
- 스프링 MVC는 요청을 여러 개의 컨트롤러로 나누어 처리할 수 있다. 각각의 컨트롤러는 특정 기능에만 집중할 수 있으므로 코드의 모듈화가 더욱 명확해지고 확장성과 유지보수성이 높아진다.
서블릿 디스패처와 스프링 디스패처 서블릿:
- 스프링은 DispatcherServlet을 통해 모든 요청을 중앙에서 처리하고 이 요청을 적절한 컨트롤러로 전달한다. 서블릿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이러한 분리된 처리가 어려웠으나 스프링 MVC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다.
결론
스프링 MVC는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매우 중요한 아키텍처 패턴이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로직을 분리하여 모듈화하고 개발과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MVC 패턴을 적절히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의 복잡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특히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이를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스프링 MVC의 핵심 요점
- Controller :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처리하고 모델과 뷰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 Model :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한다.
- View :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반응형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 롤백 동작 방식 (0) | 2024.10.30 |
---|---|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 롤백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0) | 2024.10.29 |
SpringBoot AutoConfiguration (0) | 2024.08.19 |
DTO, VO, Entity 개념과 차이 (0) | 2024.08.17 |
Spring Cloud Function의 기초 개념 (0) | 2024.07.02 |